'대구 파계사 원통전' 보물 지정 예고
2014. 11. 17. 10:20ㆍ굿뉴스365
반응형
'대구 파계사 원통전' 보물 지정 예고 |
2014년 11월 17일(월) 10:16 |
|
|
[굿뉴스365]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시도유형문화재 중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된 '대구 파계사 원통전(大邱 把溪寺 圓通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7일 밝혔다.
파계사는 창건에 관한 기록이 확실치 않으나, 신라 애장왕 5년(804) 심지 왕사(心地 王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파계사는 팔공산 자락에 원통전과 진동루가 남북축을 이루면서 좌우에 건물이 위치한 전형적인 산지 가람 배치를 이루고 있다.
'대구 파계사 원통전'은 근래 발견된 원통전 상량문 묵서(墨書)에 의해 1606년에 중창(重創)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원통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로, 정면과 측면의 주간(柱間,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은 모두 정칸(正間, 정면의 가운데 넓은 칸)을 퇴칸(退間, 평면상 건물 중심부를 둘러싼 둘레 부분)보다 크게 잡아 중앙부의 위계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단은 앞이 낮고 뒤가 높은 지형에 따라, 정면에는 높은 가구식 기단을 쌓고, 좌·우측면과 배면은 외벌대로 구성했다. 가구식 기단과 'ㄱ' 자형 귀틀석의 모습과 기법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유사한 것으로, 건물의 창건 당시인 신라 시기까지 올려 볼 수 있는 고식으로 보인다.
맞배지붕은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을 일컬으며 가구식 기단은 건물을 짓기 위해 건물 등의 터를 다진 후 흙이나 돌을 쌓아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기단을 말한다.
불단은 상, 중, 하로 구분되며 그 위에는 보탁(寶鐸)을 설치했는데 조각 수법이 화려하면서도 세련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불상이 모셔진 수미단에는 수미산을 상징하는 각종 문양이 뚫새김(투각)돼 있는데 이들 중 봉황과 학은 국가의 안녕과 왕손들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새긴 것이다.
이와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제992호)의 내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 영조 대왕 도포 등은 파계사가 왕실의 원당임을 알게 한다.
파계사 원통전은 고식의 기단을 비롯한 17~18세기의 건물에서 나타나는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의 전형적인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의 원당임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유물이 온전히 보전되고 있어 건축적, 역사적, 학술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서의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대구 파계사 원통전'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파계사는 창건에 관한 기록이 확실치 않으나, 신라 애장왕 5년(804) 심지 왕사(心地 王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파계사는 팔공산 자락에 원통전과 진동루가 남북축을 이루면서 좌우에 건물이 위치한 전형적인 산지 가람 배치를 이루고 있다.
'대구 파계사 원통전'은 근래 발견된 원통전 상량문 묵서(墨書)에 의해 1606년에 중창(重創)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원통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로, 정면과 측면의 주간(柱間,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은 모두 정칸(正間, 정면의 가운데 넓은 칸)을 퇴칸(退間, 평면상 건물 중심부를 둘러싼 둘레 부분)보다 크게 잡아 중앙부의 위계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단은 앞이 낮고 뒤가 높은 지형에 따라, 정면에는 높은 가구식 기단을 쌓고, 좌·우측면과 배면은 외벌대로 구성했다. 가구식 기단과 'ㄱ' 자형 귀틀석의 모습과 기법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유사한 것으로, 건물의 창건 당시인 신라 시기까지 올려 볼 수 있는 고식으로 보인다.
맞배지붕은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을 일컬으며 가구식 기단은 건물을 짓기 위해 건물 등의 터를 다진 후 흙이나 돌을 쌓아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기단을 말한다.
|
불단은 상, 중, 하로 구분되며 그 위에는 보탁(寶鐸)을 설치했는데 조각 수법이 화려하면서도 세련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불상이 모셔진 수미단에는 수미산을 상징하는 각종 문양이 뚫새김(투각)돼 있는데 이들 중 봉황과 학은 국가의 안녕과 왕손들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새긴 것이다.
이와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제992호)의 내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 영조 대왕 도포 등은 파계사가 왕실의 원당임을 알게 한다.
파계사 원통전은 고식의 기단을 비롯한 17~18세기의 건물에서 나타나는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의 전형적인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의 원당임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유물이 온전히 보전되고 있어 건축적, 역사적, 학술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서의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대구 파계사 원통전'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반응형
'굿뉴스36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시, 민원서비스 우수기관 재인증 획득 (0) | 2014.12.08 |
---|---|
보령시, 민원서비스 우수기관 인증 (0) | 2014.12.08 |
[기고]새내기 경찰 100일을 맞이하면서 (0) | 2014.11.14 |
[굿뉴스365]홍성군, 장애인 배려 '실종'…뒷짐행정 비난 자초 (0) | 2014.10.31 |
[카메라고발] 무개념 얌체주차 '눈총' (0) | 2014.10.31 |